하이퍼바이저는 다른 Domain보다 상위에 존재하므로 접근이 제한되어 있다. 따라서 하이퍼바이저에게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Xen에서 제공하는 툴을 사용해야 한다. 아래의 툴은 make tools시 컴파일 되어 make install 시 설치된다.
단 아래와 같은 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xend, xendomains 데몬이 동작하고 있어야 한다. 이것은 /etc/init.d/에 있으며 start나 restart, stop 등과 같은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.
xm info - 머신에 대한 정적인 정보, 즉 CPU 의 갯수, 전체 메모리 용량 및 Xen 버전 정보를 보고.
xm list - 모든 도메인 목록과 고 레벨의 정보를 출력.
xm top - Linux 의 "top" 커맨드와 유사하지만 프로세스 정보 대신 도메인 정보를 보고.
xm log - xend log 의 내용을 출력.
xm help - 모든 사용 가능한 커맨드를 출력.
xentrace - Xen 에서 트레이스 버퍼 데이터를 캡쳐.
xentop - Xen 시스템 및 도메인 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출력.
xentrace [filename] 하면 dump 파일이 생성된다.
'System > Xe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Xen에서 인터럽트와 예외 (0) | 2011.05.23 |
---|---|
xentrace 사용법 (hypervisor log) (0) | 2011.05.22 |
Xen 기반 GDB/GDBServer 를 이용한 운영체제 디버깅(debuging) (0) | 2011.05.21 |
fedora 12이후 Xen 설치법 (0) | 2011.05.17 |
xen net 드라이버 문제 해결 (0) | 2011.05.17 |